3일동안 안보기

2차대전사

6c2e421ad44336c0954fc8923cd8277135590e78.jpg

2차대전사 사진 및 영상자료 추가가 지속됩니다.

2차세계대전 독일군에 대한 생각

페이지 정보

본문


 

짧은저의 생각입니다.

2차세계대전 독일군은 그 무기의 우수성과 개전초기의 빛나는 전격적으로 인해

우리 밀리터리 매니아 팬들에겐 오히려 이기길 바라고 오히려

독일이 일찍 패망한게 아쉬운느낌도가지고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독일이 장비한 대부분의 장비는 독일만이 개발한것은 아니었습니다.

제트전투기나 강력한전차등은 연합군도 연구단계에 있었고

전시에대한 충분한 준비가 없었기때문에 

기술여건의 구비에도 불구하고 실효화에 늦었던것뿐이지요

중요한건 우리에겐 멋진 독일군이지만

유럽에선 정말 악의 사신이었단겁니다.

특히 그들이 자행한 유태인대학살의 내막을 들여다보면

그들의 기술과 조직력을 오히려 저주할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방문해본 아우슈비츠수용소나 우연히 읽은 한권분량의 내용을 보면

그들이 너무나도 잘 사람죽이는 시스탬과 사람죽이는 공장을 잘만들었다는데에 혀를 두르게 됩니다.

또한 인간에게서 나오는 부산물까지도 어떻게 처리할지에대해 철저하게 대책을 세워서

많은 공업제품의 원료로쓰이기도 했습니다.

어차피 밀리터리 팬들이야 그런 역사적 관점에 그다지 얽매일건 없겠지만

저역시 밀리터리매니아이면서도 이런건 알고 있어야 돼지않을까하는생각에

찬물 끼얹는것 같지만 적어보았습니다.



2002년 10월04일 explosive님이 작성하신 게시물입니다.

출처 : 토탈밀리터리 https://totalmilitary.net/


댓글목록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Franken] 당시 독일의 정권을 잡은 사람의 잘못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독일군을 좋아하는 것은 제복부터 전차에 까지 절제되고 단정한 모습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런 디자인적인 면은 1차대전 이전에서부터 내려온 것이지요.. 사실 전쟁게임을 해보면서 초기의 독일무기가 너무 허술함을 느낍니다. 우수한 무기란 성능뿐 아니라 실제 활용도에 좌우 된다고 생각합니다.. (10월04일)
[Franken] 그리고 무기의 우수성에 대해서 따지자면 제 생각에는 독일보다는 소련에게 더 많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전후에 2차대전에 쓰이던 T-34/85가 한국동란에 투입되어 아군을 많이 힘들게 했던점만 생각해도 소련 연구가들에게 칭찬을 해야할듯 합니다.. (10월04일)
[아프리카군단] 맞습니다.. 저희는 독일을 좋아하고 저는 아직도 지금의 독일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저흰 파시스트가 아니며 진정한 독일군의 '멋'에서 우러나온 동경이라고 봅니다. (10월06일)
[백색광휘] ※ 기타의견을 써주세요 (200자이내) (10월06일)
[백색광휘] 켁...잘못 눌렀다...저도 독일군의 멋을 생각합니다.....실제로 2차대전때에도 연합군의 많은 사병들이 독일군이 가지고 있었던 전리품을 획득하려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10월06일)
[오토 스코르체니] SS와 국방군을 동격으로 보시는가 본데, 왠만한 만행은 SS가 저지른 겁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독일군 (10월07일)
[오토 스코르체니] 이라고 하는건 국방군입니다.(앗, 엔터를 잘못눌렀다./ ㅡㅡ;;) (10월07일)
[전병장] 아니 프랑켄님 우리를 힘들게했는데 칭찬씩이나 ㅋㅋ (10월09일)
[sssman] 어차피 그넘이 그놈입니다. ss나 독일국방군이나 남에 나라를 침략한 날도독놈이란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 이른바 제국주의 첨병이라고 할 수 있죠 (11월07일)
[김정호준장] 독일무기 별로 우수하지 않은대..독인인들 자질이 우수한거갰죠 독소전 개전초만 해도 독일의 무기는 소련의 그것에 뒤떨어져 있엇습니다 (11월14일)
[neogeo1234] 독일군의 신제품 유태인 기름빨래비누,, (11월15일)

Total 139건 1 페이지
2차대전사 목록

제121 공병 대대디데이를 앞두고 독일 폭발물을 연구하는 121공병대대 대원들​

1942년 동부전선에서 T-34쇼크로 인해   7.5cm Pak40/1 T-34에 대항할수 있는 대전차포를 급조하게 된다. 점령지 프랑스에서 노획한 로렌 37 L트랙터 위에 성능과 신뢰도를 확보한 7.5cm Pak40/1 대전차포를 탑재후포방패를 신규..

7af46e5a1e4e4025042c9dec458d079ca4569f5e.jpg

1호전차 B형의 차체를 이용해 라인메탈사의 150mm중보병포 SIG 33 를 탑재했다. 보병부대의 화력지원용 으로 제작되었으며 최대 사거리 4700m, 고폭탄,연막탄,파쇄탄,성형작약탄을 사용할 수 있다.38대가 제작되어 1940년 5월부터 실전에 투입되었다.sudden..

114mm M8 로켓을 발사하는 미국의 8관 로켓 발사 플랫폼인 114mm T27 실로폰. 1941년 피카티니 무기고에서 설계한 M8 로켓은 꼬리 부분에 경첩이 달린 플립아웃 핀으로 지느러미를 안정화시키고, 270m/s의 속도로 17kg 로켓에 2kg의 탄두를..

M4 및 M6 고속 트랙터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기 전에는 대형 야전포를 견인할 수 있는 유일한 차량은 군용으로 개조된 민간용 트랙터뿐이었습니다. 전쟁이 시작된 후에도 고속 견인 트랙터의 필요성은 대두되고, 1943년에 이르러서야 M4 HST가 등장했습니다. ..

c43cf4eda87fabf0df1c2df1cca64ea3e2f6b1b3.jpg

 Stummelwerfer라고도 불리는 Kz 8 cm GrW 42는 공수부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더 짧은 총신을 갖춘 독일 8 cm GrW 34 박격포를 수정한 가벼운 모델(무게 26.5 kg에 불과)이며 비효율적인 5 cm leGrW 36을 대체합니다. 19..

bcb1c619392c9ce3f075a482d9738c9548da17c8.jpeg

Pz.Kpfw. C(VK6.01)는 속도 면에서 다른 모든 전차를 능가하는 빠르고 기동성 있는 경전차를 컨셉으로 이전 전차와는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의 독일 경전차였습니다. 하인리히 에른스트 크닙캄프가 크라우스-마페이(섀시), 다임러-벤츠(포탑)와 협력하여 설계한 디자인..

 1930년대에 설계되고 록 아일랜드 무기고에서 생산된 미국의 소형 손수레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수레는 낙하산 부대만 사용하는 공수용 아이템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 카트는 미 육군의 모든 부대가 탄약과 장비를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 병기 ..

야전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공수부대 병사들의 발이 되어준 슈빔바겐.연합군에 노획된 차량. 의무차량으로 활용.1940년 나치 독일 정부는 수륙양용차를 개발하라고 페르디난트 포르셰에게 요구하게 되고, 이 요구에 맞춰 1941년 4월에 82식 퀴벨바겐을 기반으로 ..

M4A3E8 76 (W) 제70보병사단 소속 781전차대대 소속. 프랑스 쉬르부르. 1945년 1월 10일.제6기갑사단의 M4A1 76(W) 2대, M4 75 1대, M4A1 75(후기) 1대, M4A3E8 76(W) 1대, M4A3 76(W) 1대와 제603전차구축대..

582ae20ee426330283e867652f2cfb4bcad6f432.jpg

1941년 헤르손 Leibstandarte에서 시가전을 준비중인 독일군 병사들헬렛루즈 디코 커뮤니티

059579873114b97a3cba4125c986c6679f92cbb1.jpg

제9기갑사단 소속 M4 75와 M4A3 75(W)가 아르덴에서 독일군의 공세 중 진흙탕을 헤쳐 나가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벨기에, 1945년 1월.1944년 12월 22일, 제4기갑사단 제8전차대대 M4 75 전차가 바스토뉴를 지원하러 가던 중 호테 마을에 정차하고 ..

제2기갑사단 제66기갑연대 정찰중대 소속 M5A1 스튜어트가 독일 마그데부르크 인근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던 중. 1945년 3월.출처 : 게오헬 디스코드 커뮤니티

ab94ffac4f8926810c8f27fd56dbe7ef9e505067.jpg

독일군 장교가 T34를 파괴하기 위해 어디를 타격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모습. 1943년 동부전선출처 : 헬렛루즈 디스코드

a7e19558c195557b0d42b26dd1c29332d40af325.jpg

저 북극곰은 사냥한게 아니고 죽어서 떠있는거 건진거라고 합니다.

검색

회원 로그인

SNS

접속자집계

오늘
2,789
어제
2,717
최대
4,508
전체
897,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