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동안 안보기

애니짱영화짱

영화 오펜하이머 - 크리스토퍼 놀란

페이지 정보

본문




오펜하이머는 한 번 보고 나서 글을 쓰기가 쉽지 않은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할리우드의 전기 및 역사 영화에 대한 모든 규칙을 무시하는 복잡하고 공들여 만든 스토리와 상영시간 면에서 모두 방대한 영화입니다. 크리스토퍼 놀란은 언제나 그렇듯이 자신의 방식대로 일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 팬들이 따라잡는 데는 시간이 좀 걸릴 것입니다.



일부 열성적인 배트맨 팬들이 있을지 모르지만, 크리스토퍼 놀란은 완벽한 영화를 만들지 않습니다. 그가 영화를 망쳐서라기보다는 맞추기 엄청나게 어려운 상상력만 조준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테넷의 클라이맥스인 '시간 협공 동작'은 이해할 수 없고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지만, 애초에 실사로는 불가능했을지도 모를 역설적인 컨셉이었습니다. 그는 실험적인 영화를 제작했고 흥행은 실패했지만, 다른 영화 제작자들이 그런 시도를 할 수 있었을까요? 많지 않을 겁니다.


하이 콘셉트 SF 액션 영화인 테넷과 달리 오펜하이머는 다소 평범해 보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최초의 원자폭탄을 개발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이끈 사람에 대한 영화일 뿐이죠. 그가 영화에서 다뤄본 것 중 가장 현실적인 소재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액션 영화와 똑같은 강렬함과 서사적 느낌을 주는 것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정부의 매카시즘적 반공주의 덕분에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삶은 많은 감시를 받고 있었습니다. 1954년 원자력위원회 위원회가 오펜하이머를 심문하는 청문회에서 오펜하이머가 미국 공산당에 등록된 많은 사람들과 연루되었고 심지어 결혼까지 했다는 이유로 FBI가 수십 년 동안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면밀히 추적해 왔다는 것이 영화 스토리의 골자입니다.




이 영화는 오펜하이머가 유럽에서 1920년대의 위대한 물리학자들(예를 들어 케네스 브래너가 덴마크 억양으로 연기한 닐스 보어)로부터 배우던 시절부터 1954년 청문회까지, 그리고 그 이후까지 이야기를 합니다. 맨해튼 프로젝트 자체, 즉 폭탄을 만들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많은 과학자들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가졌던 도덕적 투쟁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캐릭터 강한 조연 캐릭터들을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한 영화를 설명하는 매우 단순한 방법입니다. 이 영화는 선형적인 영화가 아닙니다. 처음부터 놀란 감독은 더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 타임라인을 넘나들고 있는데, 영화가 상영되는 3시간 내내 저는 놀란 감독이 무엇을 하려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중간에 한 장면을 잘라냈다가 한 시간 후에 다시 그 장면으로 돌아와서 결말을 맺는 경우도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놀란과 편집자 제니퍼 래임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었습니다. 오펜하이머는 매우 일관성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는 동안 이 실타래나 저 실타래가 궁금할 때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실마리가 나오곤 했죠. 이 영화는 3시간 분량의 방대한 영화로, 각자의 줄거리를 가진 100명의 주요 조연이 등장하며, 적절한 시점에 각자의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놀란과 라임은 작곡가 루드비히 고란손의 도움을 받아 노래처럼 흘러나오는 영화를 만들었고, 그 덕분에 영화 전체가 압도적으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3시간은 영화관에 앉아 있기에는 긴 시간이고, 등장인물들을 모두 따라가기가 힘들 수 있지만, 이 영화처럼 분위기를 잘 살린 영화에서는 전혀 길게 느껴지지 않을것입니다.


오펜하이머


실리안 머피는 이 곡의 중심입니다. 악기 연주자로서 그는 모든 음을 정확히 치지만, 그가 실제로 훌륭한 연기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성대모사를 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놀런은 머피의 목소리와 질감을 영화의 전체적인 미학의 일부로 매우 잘 활용했기 때문에 솔직히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는 매우 강렬한 플로렌스 퓨나 좀 더 여유로운 맷 데이먼과 연기하든, 그 거대한 조연들과 완벽한 조화를 이룹니다.



그런 의미에서 머피는 이 영화가 성공하기 위해 오펜하이머 실존 연기를 확실히 해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오스카상 후보에 오를 자격이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이지만, 제가 논하는것은 무시해도 좋아요.


오펜하이머는 크리스토퍼 놀란에 관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이렇게 길거나 복잡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냥 덩케르크처럼 놀란 스타일의 표준 스튜디오 영화를 만드는 것이 훨씬 쉬웠을 것입니다.



저는 오펜하이머가 이렇게 길고 복잡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놀란이 실제로 자신이 만들려고 했던 영화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영화 제작자에게도 그런 일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크롬 번역]

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profile_image

이상향님의 댓글

no_profile 이상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렇게 수작이라더군요

profile_image

CoRam님의 댓글

CoRa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핵미사일 무써워요~~~

Total 36건 1 페이지

검색

회원 로그인

SNS

접속자집계

오늘
3,003
어제
3,034
최대
4,508
전체
706,768